[데브레터 월간이슈] 나, 이대로 괜찮은가…개발자 성장의 벽은 어떻게 넘을까?
■ 점심엔 이슈톡
“마이크로 관점은 ‘도장’을 정교하게 파는 ‘장인’에 가깝습니다…매크로 관점은 그 도장을 1초에 1만 개씩 찍어내는 ‘공장’을 설계하는 ‘아키텍트’에 가깝습니다.”
클린 코드니 리팩터링이니 남들 하는 건 다 열심히 공부하는데, 왜 실력도 연봉도 제자리걸음인 것 같지 이런 생각해본 적 있어? 나만 뒤처지는 건 아닐까 밤마다 이불 킥하고 있다면, 오늘 가져온 이 이야기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거야.
많은 이들이 어느 시점이 되면 항상 고민하는 게, 바로 성장의 벽을 어떻게 넘을까에 대한 거 같아. 주니어 때는 코드만 잘 짜도 칭찬받았지만, 연차가 찰수록 회사에서는 더 큰 걸 바라는 눈치(?)기도 하고. 이 글은 바로 그 고민의 지척에서 ‘마이크로(Micro)’ 코딩과 ‘매크로(Macro)’ 코딩에 관한 이야기를 꺼내. 마이크로를 도장 파는 장인, 매크로를 공장을 짓는 건축가에 비유하는데, 도장 하나를 아주 예쁘고 완벽하게 파는 데 온 힘을 쏟는 장인이 될 수도, 1초에 도장 1만 개씩 찍어내는 공장 설계자가 될 수도 있다는 거야. 뭐가 옳다 그르다가 아니라 각각의 역할에 특징이 다르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어. 특히 어떻게 구현할까보다 왜 해야 할까를 먼저 묻는 개발자, 내 코드 밖의 세상까지 내다보는 개발자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고 말해. (혹시 내 코드는 문제없는데 서버가 이상하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면, 조금 뜨끔할 수도…?)
도장 파는 장인과 거대한 공장을 지휘하는 엔지니어의 역할 사이에서, 그리고 뭔가 멈춰 선 것 같은 커리어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면 참고해도 좋을 거 같아.도장 파는 개발자 vs 공장 짓는 개발자
■ IT 스냅샷: 이달의 화두는?
-
- [#아키텍처 특성]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어떻게 잘 작동하게 할 것인가
“소프트웨어 설계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는 이력서 기반 개발(Resume-Driven Development, RDD) 입니다…요구사항 문서가 ‘무엇을 해야 하는가’를 정의한다면, 아키텍처 특성은 ‘어떻게 잘 작동하게 할 것인가’를 정의합니다.”
- [#아키텍처 특성]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어떻게 잘 작동하게 할 것인가
-
- [#아키텍트] “어떻게 하면 아키텍트가 될 수 있나요?” – 두 사람에게 배운 설계와 태도 이야기
“좋은 아키텍트는 복잡함을 숨기는 것이 아니라, 복잡함을 관리 가능한 구조로 바꾸는 사람이다.”
- [#아키텍트] “어떻게 하면 아키텍트가 될 수 있나요?” – 두 사람에게 배운 설계와 태도 이야기
-
- [#LLM] 얀 르쿤, 왜 메타를 떠났나
“얀 르쿤의 퇴장은 AI의 영혼을 건 ‘개방’과 ‘폐쇄’의 전쟁이 본격화됐음을 알리는 서곡이다.”
- [#LLM] 얀 르쿤, 왜 메타를 떠났나
-
- [#바이브코딩] 단 1시간 만에 99개의 MVP가? AI와 함께한 1K: 바이브코딩전 생생 후기
“단 1시간, 실제 개발 시간 35분 만에 99개의 MVP가 탄생했습니다. (실제 각 MVP들을 실행해 볼 수 있도록 공개되어 있음)”
- [#바이브코딩] 단 1시간 만에 99개의 MVP가? AI와 함께한 1K: 바이브코딩전 생생 후기
-
- [#MCP] Backoffice AI Agent 구축기 — RAG+MCP 기반 플레이스AI 특화 지식 검색 시스템
“사내에는 수많은 기술 문서와 기획서, 히스토리들이 위키, 깃허브, 사내 메신저 등 다양한 곳에 산재해 있습니다…단순히 문서를 검색해서 답변해주는 것을 넘어, 실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Agent로 확장하기 위해 MCP를 도입했습니다.”
- [#MCP] Backoffice AI Agent 구축기 — RAG+MCP 기반 플레이스AI 특화 지식 검색 시스템
-
- [#ChatOps] Slack Command를 통한 Jira–GitLab 연동 기능 개발기
“‘반복 작업들을 자동화할 수 있을까?’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여 Slack·Jira·GitLab API를 연동해 배포 프로세스에서 개발자의 반복 업무를 자동화하는 기능을 만들었습니다.”
- [#ChatOps] Slack Command를 통한 Jira–GitLab 연동 기능 개발기
-
- [#업무자동화] 불편함에서 시작된 효율화: QA 리포트 자동화하기
“Slack의 인터랙티브 컴포넌트는 요청 이후 3초 이내에 응답이 없으면 연결을 끊어버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.”
- [#업무자동화] 불편함에서 시작된 효율화: QA 리포트 자동화하기
-
- [#Dead Tuple] 데이터는 지웠는데 비용은 그대로? Aurora 스토리지 비용 최적화 하기
“DELETE 쿼리를 실행하면 데이터는 지워지지만, 그 공간은 ‘빈 공간’으로 남아있을 뿐 물리적인 스토리지 용량은 줄어들지 않습니다.”
- [#Dead Tuple] 데이터는 지웠는데 비용은 그대로? Aurora 스토리지 비용 최적화 하기
-
- [#무중단 배포] 배포시간 단축: 블루-그린 배포 도입기
“서버 전체가 다운되어 서비스 이용 불가가 되었습니다. 여기서 가장 문제는 복구하기 위해서는 소스를 기존으로 롤백하고 다시 배포해야 하기에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었습니다.”
- [#무중단 배포] 배포시간 단축: 블루-그린 배포 도입기
■ 독자탐구생활
■ 데브주요뉴스
에디터 OTL_ 김이 모락모락 나는 따뜻한 밥 한 끼를 떠올려봤어. 자아, 힘내볼까.





- 한빛미디어
- 서울 서대문구 연희로2길 62
- 수신거부 Unsubscribe
![[데브레터 월간이슈] 나, 이대로 괜찮은가...개발자 성장의 벽은 어떻게 넘을까? [데브레터 월간이슈] 나, 이대로 괜찮은가...개발자 성장의 벽은 어떻게 넘을까?](http://devground.hanbit.co.kr/wp-content/uploads/2025/11/devletter_11_11-2.jpg)

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