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[데브레터 월간이슈] 개발 환경이 엉망이면, 삽질만 늘고 진짜 중요한 일은 못하게 된다
■ 점심엔 이슈톡
“코드를 통해 비즈니스에 기여하는 과정보다, 내부의 다양한 규제를 위한 툴과 업무방식을 학습하는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고 있었습니다.”
야근은 기본, 주말 출근에 찌들어 사는 개발자들에게 필요한 건 뭐다? 바로 칼퇴근…(도 맞는 말이지만) 그건 당연한거고. 효율적인 개발 환경 구축을 통한 업무 효율 극대화가 아닐까? 많은 이들이 같은 고민을 하고 있을 텐데, 개발 환경이 엉망이면 삽질만 늘고, 진짜 중요한 일은 할 수 없게 돼. 어떤 신입은 README 파일 하나 수정하는데 보안팀, 인프라팀, 운영팀… 도장 깨기 하는 줄 알았다 말하기도 하고, 어떤 중니어는 새로운 기능 개발 보다 배포 설정하는 데 시간이 더 걸려서 배포 전문가 될 판이라고 전하기도 했어. 시니어 개발자는 개발 환경 때문에 이직 고민 100만 번 했다 하기도 하더라고. 제발 개발에 집중할 수 있게 해주시면 안 될까요🙏. 그런 면에서 효율적인 개발 플랫폼 구축은 워라밸을 위해서도, 개개인의 실력을 키우는데도, 그래서 회사를 키우는데도 도움이 되는 방법이지 않을까?We Can Do Better: 개발자 플랫폼 효율화 이야기
■ IT 스냅샷: 이달의 화두는?
-
- [#개발환경] 데브옵스(DevOps), SRE를 넘어 플랫폼 엔지니어링의 시대가 온다
“여러 팀이 함께 사용하는 코드와 도구, 인프라를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? 대부분의 조직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팀의 요구사항을 담당하는 중앙 팀을 만들었지만,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았습니다…때로는 이런 문제가 동시에 나타나기도 했습니다.”
- [#개발환경] 데브옵스(DevOps), SRE를 넘어 플랫폼 엔지니어링의 시대가 온다
-
- [#MCP] 국내 SW 기업, AI-데이터 연결 표준 ‘MCP’ 도입 연구·채용 활발
“기존에는 SW와 서비스 응용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(API) 간 연결을 일일이 구현해야 했지만, MCP가 일련의 과정들을 거치지 않아도 되게 만들었다”
- [#MCP] 국내 SW 기업, AI-데이터 연결 표준 ‘MCP’ 도입 연구·채용 활발
-
- [#FastAPI-MCP] FastAPI를 AI 친화적인 MCP 서버로 변환하는 강력한 도구
“FastAPI 앱을 수정할 필요 없이 간단한 코드 추가만으로 MCP 서버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.”
- [#FastAPI-MCP] FastAPI를 AI 친화적인 MCP 서버로 변환하는 강력한 도구
-
- [#GPT] 소프트웨어 개발에 특화된 GPT4.1 출시
“Windsurf 개발팀 내부에서는 이 GPT-4.1에 대한 평가가 아주 좋다고 한다.”
- [#GPT] 소프트웨어 개발에 특화된 GPT4.1 출시
-
- [#바이브코딩] 바이브 코딩 시대 개발자가 지녀야 하는 특성
“AI가 생성한 결과물의 책임을 인간이 최종적으로 진다는 점에서, 결과물에 대한 주인의식이 더욱 중요해진다.”
- [#바이브코딩] 바이브 코딩 시대 개발자가 지녀야 하는 특성
-
- [#바이브코딩] 정말 코드 없이 개발이 가능할까? (개념과 현실, 미래 분석)
“솔직히 말해서, AI가 코딩 다 해준다 믿고 시작했는데… 결국 AI가 짠 코드를 밤새 디버깅하고 있더라고요.”
- [#바이브코딩] 정말 코드 없이 개발이 가능할까? (개념과 현실, 미래 분석)
-
- [#생성AI활용] 오라일리 레이더 문서 번역 정리
“아무리 생각해 봐도 왜 AI가 일체 포함으로 번역되는지 모르겠다. (예전 구글 번역 처음 나왔을 때 아파치 웹서버 페이지를 인디언 부족으로 번역하던 게 생각나버렸다.)”
- [#생성AI활용] 오라일리 레이더 문서 번역 정리
-
- [#쿠버네티스] 당신의 CPU는 열심히 일하고 있나요?
“이 주제와 관련해서 특히 재미난 점은 CPU 상한 설정을 유지 혹은 제거하는 것에 대해 각 프로젝트에서 서로 다른 결정을 내렸다는 점입니다. 미리 결론을 말씀드리자면, 벡엔드 서버 팀에서는 제거하는 것으로, 프런트엔드 서버 팀에서는 제거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.”
- [#쿠버네티스] 당신의 CPU는 열심히 일하고 있나요?
-
- [#스터디사례] 딜리버리 프로덕트 개발팀의 개발 문화 – 주니어 디버깅 스터디
“스프링부트 버전 업데이트와 연관 지어 문제를 좁은 시각으로 접근했던 것 같아요. 앞으로는 더 넓은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봐야겠습니다.”
- [#스터디사례] 딜리버리 프로덕트 개발팀의 개발 문화 – 주니어 디버깅 스터디
- [#개발환경] 기술 임원의 세 가지 유형과 나의 스타일 알아가기
“엔지니어들의 꿈은 자원이 무한히 있고, 만들고 싶은 것을 만들 때 누구에게도 허락을 받지 않고, 실패해도 계속 시도해 볼 수 있는 환경에서 일하는 것입니다.”
■ 독자탐구생활
■ 데브주요뉴스
에디터 OTL_ 하늘이 좋다. 바람도 좋다. 당신도 좋다. 다 좋다.
- 한빛미디어
- 서울 서대문구 연희로2길 62
- 수신거부 Unsubscribe